목록전체 글 (104)
개발일기장

텔넷 서버 구축 rpm -qa telnet-server-> 설치 확인 dnf -y install telnet-server-> 설치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atus telnet.socket-> 서비스 상태 확인 서버는 돌아가고 있고 23번 PORT로 듣고 있다는 말임. telnet에 접속하는 유저를 생성하고 그냥 접속해보자 이번에는 Windows(host)에서 접속해보자 firewall-config를 입력해서 방화벽을 뚫어주고 systemctl enable telnet.socket 재부팅 후에도 서버가 가동되도록 설정하자 완료 OpenSSH 서버 텔넷은 보안이 좀 꾸짐.. 그래서 데이터 전송시 암호화 하는 openssh를 사용함 이거 나도..

숫자 계산 사칙연산같은것을 하고싶으면 `(역따옴표)로 묶어주고 expr키워드를 사용 그리고 수식에 괄호나 *(곱하기) 사용하고 싶으면 \(역슬래시)를 붙여야함 if문, case문 if [ 조건 ] then [ 실행 ] else [ 실행 ] fi 주의해야할 것은 괄호 양옆은 무조건 공백이 있어야 한다. 조건문 산술/비교 연산자 연산자 결과 "str1" = "str2" 같 "str1" != "str2" 틀 -n "str" NULL이 아니면 TRUE -z "str" NULL이면 TRUE 수식1 -eq 수식2 같 수식1 -ne 수식2 틀 수식1 -gt 수식2 크 수식1 -ge 수식2 크 + 같 수식1 -lt 수식2 작 수식1 -le 수식2 작 + 같 !수식 반대로 대충 이런것들이 있다. 파일 조건 조건 결과 -..

사실 이 부분 하고싶었고 나머지는 그냥 한번 읽어보자~ 느낌 CentOS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셸은 bash(Bourne Again SHell)이다 아무튼 좋은 기능이 많다 셸 명령문은 명령문과 함께 여러가지 옵션이나 인자를 사용할 수 있음 맨날 입력하는 이런 형식.. ls -l /etc/... [명령어] [옵션] [인자] 환경변수 이거는 windows사용하는 사람들도 잘 알것.. 환경 번수 설명 환경 변수 설명 HOME PATH LANG PWD TERM SHELL USER DISPLAY COLUMNS LINES PS1 PS2 BASH BASH_VERSION HISTFILE HISTSIZE HOSTNAME USERNAME LOGNAME LS_COLORS MAIL OSTYPE 설명은 그냥 찾아보셈 환경 ..

https://tlqckd0.tistory.com/72 chapter 06 - 하드디스크 관리와 사용자별 공간 할당 (3) LVM은 처음들어본다.. Logical Volume Manager 논리 하드디스크 관리자 Linear RAID와 기본 기능은 비슷하지만 더 많은 기능이 있다. 그래서 CentOS는 기본적으로 설치시 LVM으로 하드디스크를 분할해서 설치 tlqckd0.tistory.com 여기서 이어지는 내용 건조기 돌리고와서 마저 쓰자 위의 명령어는 그냥 한번만 하면 되니깐 별 상관없단 quotacheck명령어는 하드디스크를 스캔해서 여러 부분을 체크하는 것 quotaon/quotaoff 은 설정된 쿼터를 켜거나 끄는 것 그럼 john에게 공간을 할당해보자 edquota -u john 이렇게 수정하..

LVM은 처음들어본다.. Logical Volume Manager 논리 하드디스크 관리자 Linear RAID와 기본 기능은 비슷하지만 더 많은 기능이 있다. 그래서 CentOS는 기본적으로 설치시 LVM으로 하드디스크를 분할해서 설치한다~~ 라고 적혀있음 주용도는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1개의 파티션으로 구성 후, 다시 필요에 따라 나누는 것 -> 2테라 디스크 2개를 합쳐서 3테라 + 1테라로 나눠서 사용이 가능하다 - 물리 볼륨: 파티션 - 볼륨 그룹: 합쳐서 하나로 - 논리 볼륨: 볼륨 그룹을 1개 이상으로 나눈것 여기서는 리눅스 초기화 하라고 하는데 그냥 그대로 하자 기존에 j까지 있었으니깐 이거는 /dev/sdk, /dev/sdl 으로 되겠죠? fdisk /dev/sdk 다른내용은 다 ..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하드디스크 처럼 사용할 수 있는 RAID와 LVM에 대해서.. HW RAID와 SW RAID가 있고 RAID 레벨 0~6까지 있는거는 여기서 이야기 할게 아닌거같음 근대 맨날 까먹음 사용량 단순 볼륨 1T(N) 디스크 하나 Linear RAID 2T(N) 디스크 하나 꽉차면 다음 디스크 연결 RAID 0 2T(N) 2개 이상 동시 저장 Stripping RAID 1 1T(N/2) 2개 동시 저장 Mirroring RAID 5 2T(N-1) 3개 이상 결함 허용, 패리티 정보 사용 RAID 6 2T(N-2) 4개 이상 RAID 5의 개선 결함 허용, 중복 패리티 정보 사용 대충 이런것들 사용한다~고 적혀있다. RAID 0+1방식이나 1+0방식도 있고.. 모르면 그때 그때 찾아..

시스템의 하드디스크 공간이 부족할 때는 디스크를 하나 추가하는것이 일반적인 방법 지금의 서버 환경은 이렇게 구성되어 있음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연결장치에는 IDE, SATA, SCSI, NVMe 등의 슬롯이 있고, 각각의 슬롯에 여러개의 저장장치를 장착 할 수 있음 지금 가상머신은 80GB이고 4GB는 스왑공간 나머지는 저장공간으로 파티션을 분할 한 상태 리눅스에서는 처음 장착된 SCSI 하드디스크 이름을 /dev/sda라고 부른다 그리고 추가를 하면 /dev/sdb, /dev/scd, /dev/sdd 등으로 부름 파티션을 나누면 /dev/sda1, /dev/sda2..로 이름을 붙임 잘 기억해둬란다(책 쓴 사람이) 실습)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저기에다가 /dev/sdb (1GB)를 추가해보자 저장장치를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