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웹 (104)
개발일기장
예전에 취준할 때 NodeJS원툴이라서(근대 이것도 그냥 대충 개발하고/지금 다 까먹음) 스프링이랑 Java관련해서 공부해보자 해서 인프런에서 이것저것 강의 들었던 적이 있었음..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db-1 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 인프런 | 강의 백엔드 개발에 필요한 DB 데이터 접근 기술을 기초부터 이해하고, 완성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DB 접근 기술의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더 깊이있는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강의 www.inflearn.com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db-2 스프링..
(1) read 에서 namespace가 뭔지 몰랐는데 xml에서 같은 tag를 URI를 이용해서 구분해주는?? 그런느낌의 용도라고 한다 http://www.tcpschool.com/xml/xml_basic_namespace 코딩교육 티씨피스쿨 4차산업혁명, 코딩교육, 소프트웨어교육, 코딩기초, SW코딩, 기초코딩부터 자바 파이썬 등 tcpschool.com 일단 XML 예시를 조금 수정해보자 111111 real 999999 test xmln:[bind]="value" 형식으로 상위 Tag에 정의를 해주면 되는 방식 이제 getChildren(tag-name, namespace)를 사용 List aChild = root.getChildren("ext", Namespace.getNamespace("www..
회사에서 쓰는 프레임워크가 통신을 할때 TIB rv에 XML형식으로 주고받는 .. 그런 방식이다. Springboot에서는 httpRequest객체를 받는데 사내 프레임워크엥서는 Document(JDOM에 있음) 이거를 받아옴 그래서 할것도 없고 해두면 괜찮겠다 싶어서 JDOM에서 뭘 할 수 있나 좀 보자 일단 이분이 작성한 블로그랑 java doc을 보면서 https://www.joinc.co.kr/w/Site/XML/JDOM_xml_Processing JDOM을 이용한 xml 데이터 처리 JDOM을 이용한 xml 데이터 처리음.. C(그게 어쩌다보니, java를 이용해서 처리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다. 두가지 언어 모두 별로 익숙하지 않다는게 맘에 걸린다. 역시나. 일단 용어부터가 문제다. 무 www...
1. 웹서버 구축 솔직히 웹서버는 정리할 이유가 있을까.. 그냥 방화벽 열어주고 서버 열면 끝인거같음 ㅋㅋㅋ 책에서는 php + apache + mariaDB 스택으로 하는데 그냥 node + nginx 로 간단하게 하자 dnf -y install nginx systemctl start nginx systemctl status nginx 방화벽을 열어주자 그리고 호스트(Windows)에서 접속해보면 이렇게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웹서버port 8080 -> 80으로 내부에서 라우팅 해줄 수 있게 nginx conf를 조금 수정해주자. /etc/nginx/nginx.conf location 부분에 proxy_pass에 8080port로 연결해주는 것을 추가하자 nginx 도 공부해서 포스팅 하나 해야할..
근대 이거는 그냥 DB깔고 실행하는 정도.. SQL 앵간한 문법은 알고 있고.. 책에 정리할 껀덕지가 없다. 1. MariaDB 일단 mariaDB 사이트 들어가서 4개 다운받자 galera 랑 client, server, common 4개의 package를 저 사이트에서 다운받으면 된다 그리고 다운받은 패키지를 설치해주자 dnf -y install ga*.rpm Maria*.rpm 잘 돌아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고 mysql 방화벽도 뚫어주고 접속이 잘 된다.. DB는 다른 곳에서도 접속을 할 수 있어야 하니깐 Host 인 Windows에서도 접속해보자 mysqladmin -u root password '[비번]'-> root계정 비번 mysql -h localhost -u root -p-> 접속 ..
그냥 config만 수정하는 작업이라 정리하는거 중간에 떄려쳤음 이메일 송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3가지 1. SMTP :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보내거나, 메일 서버끼리 메일을 받을 때 사용 2. POP3 : 메일 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클라이언트로 가져올 때 사용 3. IMAP : POP3과 용도 같음 CentOS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센드메일(SendMail) 서버를 구축 서버 2개로 실습진행함 서버1) dnf -y install sendmail resolv.conf 파일에 위처럼 수정하면 됨.. naver.com메일서버 구축 dnf -y install sendmail-cf dovecot 이거하고 뭐 엄청 바꿔야하는데 그거 다 쓰기가 그렇기도 하고 나도 설정하면서 무슨내용인지도 모르겠고 일단 결과만...
어제에 이어서 마스터 네임서버 다수의 서버에 웹 + DB + ftp서버를 구축하고 그것에 대해서 URL로 접근할수 있게 하는거임 1. 웹서버 설치 dnf -y httpd-> 설치 rpm -qa httpd -> 설치 확인 systemctl start httpd systemctl status httpd firewall-config 웹서버 실행을 하고 방화벽에서 http/https 서비스 열어주기 2. ftp 서버 설치 ### 다른 가상머신으로 진행 dnf -y install vsftpd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ftp-> 방화벽 설정 firewall-cmd --reload-> 재실행 그리고 /var/ftp에 아무파일이나 생성후 /etc/vsftpd/vsftpd.c..
DNS 서버라고 하면 다 알듯.. 웹이나 ftp client를 사용할 때 ip대신 url을 사용하는데 이 정보에 대해 mapping시켜주는 변환시켜주는 서버임 일반적으로 client내부에 파일로 저장해두는 방법도 있음 -> /etc/hosts dns 서버까지 가지 않고 바로 local에서 url에 해당하는 ip주소를 얻기 위한 방법.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server의 ip주소가 변경되었을 경우 hosts의 정보는 쓰잘떼기 없어짐 그러니 DNS 서버에서 이걸 관리해준다~ 는 느낌.. 취준때 공부했던거 생각나는데 네트워크 시간나면 다시 한번 복습해둬야할거같다. nslookup server -> 설정된 네임서버 ip주소 www.naver.com -> 네이버 웹 서버의 IP주소 따라서 네임서버가 제대로 설정되..